KSN 2021 연구비 수혜 소개 2 [21년 겨울호]

편집부

news@ksnnews.or.kr | 2021-12-01 14:37:32

혈청 miRNA를 이용해 쯔쯔가무시 환자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부전을 예측할 수 있는 생체 표지자의 개발

선인오 / 전주예수병원 신장내과

2021년 대한 신장 학회 학술대회에서 ‘신장 질환 연구’ 분야 연구비를 주셔서 학회에 감사드리며, 개인적으로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제 연구 제목은 ‘혈청 miRNA를 이용해 쯔쯔가무시 환자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부전을 예측할 수 있는 생체 표지자의 개발’입니다.

제목만 보시고 ‘신장내과 의사가 쯔쯔가무시병을 연구한다고?’ 하시며 의아해 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쯔쯔가무시병은 감염내과에서 주로 진료하는 질환이지만, 제가 소속한 예수병원에서는 감염내과 선생님이 진료하기 전부터 신장내과에서 진료를 하였습니다. 현재도 본원에 감염내과 선생님이 계시지만, 쯔쯔가무시병은 신장내과에서 진료를 계속 하고 있어 저의 진료분야 중 하나입니다.

쯔쯔가무시병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호남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쯔쯔가무시병 발생 빈도가 높기 때문에 쯔쯔가무시병을 연구하기에 굉장히 좋은 환경입니다 (그림 1). 전공의 시절에도 쯔쯔가무시병 환자를 보았지만, 그 당시에는 가을철에 발생하는 여러 열성 질환 중의 하나이며, doxycycline이나 azithromycin 등을 투여하면 대개는 좋아지는 질환 정도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림 1) 연도별 및 지역별 쯔쯔가무시 병의 발생 현황

하지만 제가 신장내과 의사 관점을 가지고 보니 이 질환이 굉장히 흥미로운 점이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쯔쯔가무시병은 여러 장기에 혈관염을 유발하여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이 주요 병태 생리입니다. 그런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뇌수막염, 간질성 폐렴 및 급성 신부전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쯔쯔가무시병에서 합병증으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고, 이 쯔쯔가무시병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부전에 대한 연구가 별로 없었기에 호기심을 가지고 연구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쯔쯔가무시병에서 발생하는 급성신부전의 발생 빈도, 임상 양상, 예후 인자 등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아서, 후향적 연구를 통해 기본적인 데이터를 정리해 2014년도에 Journal of Infection and Chemotherapy에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kidney injury in patients with scrub typhus-RIFLE criteria validation’ 이라는 제목으로 쯔쯔가무시 병의 임상 양상에 관한 논문을 제출했습니다.

같은 해에 대한신장학회에서 ‘쯔쯔가무시병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 신부전에서 혈청 및 소변의 NGAL 및 KIM-1 유용성’ 주제로 신진연구비를 수상하였고, 이 연구를 통해 혈청 NGAL이 쯔쯔가무시 병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부전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2017년 PLoS One에 발표하였습니다.

그 해에 저는 해외 연수를 Mayo Clinic에서 하게 되었고, Dr. Lerman 선생님 지도하에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와 miRNA에 대하여 연구 할 수 있었습니다. 해외 연수 시절에 이쪽 분야 공부를 하면서도, 이러한 연구 기법을 평소에 제가 관심이 있었던 쯔쯔가무시병 환자 연구에 접목할 수 있을지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연수를 마치고 한국에 돌아온 후, 그동안 모아 놓은 환자의 소변 검체에서 exosome을 분리한 후에 miRNA-21을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초에 급성 신부전 환자의 소변에서 추출한 exosomal miRNA-21 이 급성 신부전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Genetic testing and molecular biomarkers지에 발표하였습니다.

하지만, miRNA-21이 외에 급성 신부전과 연관이 있고, 쯔쯔가무시 병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부전에 특이적인 miRNA가 궁금하였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이러한 호기심에서 출발하였고, 급성 신부전이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 또 건강 대조군의 혈청에서 차이가 있는 miRNA를 miRNA array를 통하여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림 2).

(그림 2) 연구 개요 및 추진 전략

이를 통해, 보다 정확히 급성 신부전을 예측할 수 있는 miRNAs를 찾을 수 있고, 나아가 급성 신부전의 병태 생리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직까지는 쯔쯔가무시병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부전에서 이러한 연구가 없었기에, 본 연구는 쯔쯔가무시병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부전을 예측할 수 있는 생체표지자의 개발 및 병태 생리를 발견한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쯔쯔가무시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부전을 보다 조기에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치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연구비를 주신 대한신장학회에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좋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대한신장학회 소식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