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N 2021 연구비 수혜 소개 4 [21년 겨울호]
편집부
news@ksnnews.or.kr | 2021-12-01 15:03:32
조민현 / 경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장분과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대한신장학회 소아신장학 연구비를 수상한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조민현입니다. 올해 처음으로 신설된 소아신장학 연구비의 첫 수상자가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하며, 대한신장학회 관계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신장이식에서 흔히 발생되는 공여자와 수혜자 간의 체격 불균형은 다양한 문제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혈역학적 불균형, 이식신의 저관류, 심장 부담의 증가, 수술적 접근의 어려움, 이식신의 나쁜 예후 등과 관련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나이와 체격이 비슷한 소아의 신장을 제공받기 어려운 소아 말기 신부전 환자들의 대부분은 성인의 신장을 제공받으므로 소아 신장이식에서 공여자와 수혜자 간의 체격 불균형은 성인보다 더 흔히 발생됩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이나 청소년이 작은 소아나 영아의 이식신을 제공받는 경우는 사구체의 비후, 과여과로 인한 네프론의 손상과 단백뇨의 발생 등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공여자-수혜자 체표면적의 비가 0.9 미만이거나 공여자의 체중이 수혜자보다 30kg 이상 적은 경우 이식신 소실의 위험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공여자-수혜자 체표면적의 비가 역전되는 상황, 즉 공여자-수혜자 체표면적의 비가 1.0 이상인 경우가 흔히 발생되는 소아 신장이식에서는, 성인 및 소아 공여자에 따른 이식신 예후의 차이에 관한 정확한 해답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소아 신장이식에서 나이와 체격에 맞는 소아 공여자를 만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으므로, 여러 소아 신장이식 전문가들은 실제 공여자-수혜자 간의 체격 불균형이 이식신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습니다.
2010년 Goldsmith 등은 공여자-수혜자 간의 체중 조화군과 부조화군에서 1년 이식신 생존율 등을 평가한 후향적 연구에서, 체중이 작은(20kg 미만) 소아 환자에게 성인 신장을 이식하는 것은 안전하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2012년 Špatenka 등은 57명의 소아 신장이식 환자의 임상자료를 분석하여 공여자-수혜자 간 체중의 비가 높을수록 이식신의 사구체 여과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의 주된 원인은 공여자의 체중보다는 수혜자 체중과의 관련성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해, 결국 수혜자의 체중이 일정 수준 이상만 된다면 큰 성인의 신장을 이식받는 것은 문제가 되질 않는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2014년 Feltran 등도 체구가 작은 소아에게 이식된 성인의 신장은 이식 후 크기의 감소를 보이지만 신기능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반면, 1999년 The North American Pediatric Renal Trials and Collaborative Studies (NAPRTCS)에서는 성인의 신장을 이식받은 어린 소아에서는 이식 후 저관류 현상으로 인해 10%에서 투석이 필요할 정도의 급성 세뇨관 괴사가 발생되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이식신 소실의 중요한 위험인자라고 처음 보고한 것입니다.
이후 다른 연구들에서도 소아 신장이식에서 성인 공여자로 인해 발생되는 공여자-수혜자 간의 체격 불균형, 특히 공여자-수혜자 체표면적의 비가 1.0 이상인 경우는 이식신 저관류, 이식신 기능회복 지연 등이 이식 초반에 흔히 나타나게 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더불어 투석까지 필요한 급성 세뇨관 괴사의 발생률이 성인 신장이식보다 현저히 높고 이러한 경우 장기적으로 이식신의 기능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소아 신장이식 환자에서 흔히 경험하는 공여자-수혜자 간의 체격 불균형이 이식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임상적 방법을 확인해, 소아 신장이식의 결과를 향상하고 더 효율적인 뇌사자 장기 배분을 위한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계획되었습니다.
대한신장학회, 대한소아신장학회 및 대한이식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최근 20년간 소아 신장이식 환자의 임상자료를 수합하고, KONOS의 공여자 및 수혜자의 자료를 이용하여 공여자-수혜자 체중과 체표면적의 비가 이식신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예정입니다.
1) 체격의 부조화가 소아 신장이식에서 이식 후 합병증의 발생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이식신의 생존율을 악화시키는 위험인자인지 확인하고, 2) 소아 신장이식을 위한 최적의 공여자를 선정하여 뇌사자 장기배분의 객관적인 근거로 이용하고, 3) 공여자-수혜자간 체격 불균형이 있는 소아 신장이식 환자에서 저관류에 의한 이식신의 급성 세뇨관 괴사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한 많은 조언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대한신장학회 소식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