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ney Health Initiative TFT: 국민 콩팥건강을 위한 한 걸음 내딛기 [22년 겨울호]

편집부

news@ksnnews.or.kr | 2022-12-01 14:01:43

박선희 / 경북대학교병원 신장내과, 대한신장학회 일반이사
Warning: getimagesize(https://ksnnews.or.kr/home/ksnnews/public_html/news/data/2025/02/20/p1065588479655477_588_thum.pn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7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2022월 5월 28일 KSN 2022 (대한신장학회 제 42차 국제학술대회) 정기총회에서 18대 이사장으로 취임사를 하신 임춘수 이사장님은 학회가 주도적으로 국민 콩팥건강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한 ‘Kidney Health Initiative(KHI)’라는 사업을 제안하였다. 이는 ‘신장병의 예방과 조기진단을 위한 대국민 홍보 및 교육’, ‘정책개발을 통한 최적의 의료환경 조성’이라는 대한신장학회의 미션을 실현하는데 부합하는 정책으로 생각된다. 이어 6월 11일 대한신장학회의 새로운 정책이사진들이 처음 만난 워크숍을 통해 KHI 특별위원회가 구체화되면서 일반이사로 합류한 필자와 부총무인 차진주 선생님에게 관련 임무가 맡겨졌다. ‘Kidney Health Initiative’란 단어는 어디선가 들어본 것도 같은데, 앞으로 대한신장학회에서 KHI의 이름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이러한 새로운 도전으로 대한신장학회의 이사 활동에 임하게 되었다. 

KHI 특별위원회 미션과 활동목표

미국의 Kidney Health Initiative는 2012년 미국신장학회(ASN)와 미 FDA 간의 협력으로 설립되어, 콩팥건강과 환자의 안전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로 환자단체, 의료단체, 연구기관, 제약회사 및 정부기관들 간의 상호 협력 및 포괄적 프로젝트 실행을 표방하였으며, 실제 임상연구나 전임상연구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과는 달리 우리의 한국형 콩팥건강협의체는 학회 주도하에 제안된 사업으로, 현재 국민 콩팥건강에 위협이 되는 여러 질환들 중 향후 극복되어야 할 당뇨병성 신장 질환과 이에 의한 말기 콩팥병의 현황에 주목하였다. 

USRDS의 국제 데이터 비교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말기 콩팥병의 유병률은 2019년, 인구 백만 명 당(pmp) 2,100명으로 이는 전 세계 5위에 해당하며 10년 전에 비해 2배로 증가하였고 증가율은 전 세계 2위에 해당한다. 또한 2019년 전 세계 44개 국가 간의 말기 콩팥병 발생률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의 말기 콩팥병 환자의 발생률은 인구 백만 명 당 360명으로 세계 5위이며 아시아 국가 내에서는 대만(529 pmp)과 태국(377 pmp)에 이어 3위에 해당한다. 10년간 연간 변화율은 10년 전에 비해 2배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이 19.4 pmp 로 이는 전 세계 3위, 아시아 내 2위에 해당한다. 또한 새로 진단된 말기 콩팥병 발생 건수 중 당뇨병성 신장 질환으로 인한 비율이 48.4%로 당뇨의 비율은 전 세계 4위에 해당할 정도로 높다. 더욱이 최근 10년간 (2009~2019년) 당뇨병성 신장 질환으로 인한 말기 콩팥병 발병의 변화 추이는 전 세계 1위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당뇨병으로 인한 말기 콩팥병이 증가하였다. 말기 콩팥병의 증가와 당뇨병성 신장 질환의 증가 폭은 연관관계가 있어, 이는 당뇨병성 신장 질환의 증가가 말기 콩팥병의 확연한 증가를 가져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대규모 만성 콩팥병 코호트(KNOW-CKD)에 의하면 당뇨병성 신장 질환은 연간 신기능 감소 속도가 타 질환으로 인한 경우보다 더 빠르고 심혈관계 사건 위험도가 높으므로 초기부터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만성콩팥병 환자들은 타 국가와 비교 시 상대적으로 혈압이 잘 관리되었고 사망 위험도가 낮은 반면, 기능 악화로 투석을 받게 되는 위험이 높았다. 

이러한 현재 상황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당뇨병성 신장 질환으로 인한 말기 콩팥병 발생을 줄이고 콩팥병의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당뇨 환자의 콩팥 건강을 유지하고자 아래와 같은 미션으로 KHI 활동을 계획하며 나아가 향후 10년간 추구할 목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달성 가능한 목표를 2023년 KSN에서 선언할 예정이다. 

KHI는 기존 대한신장학회 내 타 위원회 활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각 위원회의 활동과 연계하여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등록위원회에서는 대한신장학회의 투석환자 등록 사업 자료 중 당뇨병성 신장 질환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Factsheet 형태로 발간을 하고, 협연위원회는 당뇨병성 신장 질환 관련 국내 자료 분석을 위한 협연과제를 선정하거나, 이미 협연과제를 진행 중인 당뇨병연구회를 통해 우리나라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당뇨병성 신장 질환의 역학 자료를 확립하고 한다. 또한 진료지침위원회는 당뇨, 만성 콩팥병 관련 진료권고안을 수립하여 일선 진료에 활용하고자 하며 홍보위원회는 관련 홍보영상을 뉴스레터나 유튜브 영상으로 제작하여 대국민 홍보방안을 구축하고자 한다. 나아가 보험법제위원회나 투석 위원회에서는 당뇨 투석 환자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보험재정과 사회적 손실분석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연계활동을 시행하고자 KHI 특별위원회는 타 위원회의 위원들이 동시에 활동을 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오랜 기간 당뇨환자의 진료와 연구에서 축적된 경험과 업적을 가진 교수님들을 자문위원으로 초빙하여 아래와 같이 위원 구성을 하였다. 

(표) 대한신장학회 KHI TFT 위원

끝으로 KHI 활동은 보다 나은 국민 콩팥 건강을 달성하기 위해 한 걸음 내딛는 과정이라고 생각되며, 지속적인 연관 활동으로 향후 우리나라 말기콩팥병의 발생이 감소되는 변곡점에 하루빨리 도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서는 특별위원회에 구성된 위원들의 활동 못지않게 대한신장학회 회원들의 관심과 지지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대한신장학회 소식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