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장학회 투석전문의 Factsheet 2024 [24년 가을호]

편집부

news@ksnnews.or.kr | 2024-11-07 16:13:34

구태연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장
Warning: getimagesize(/home/ksnnews/public_html/news/data/2024/12/05/p1065596569460515_718_thum.png?1733382368408):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7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ksn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대한신장학회 투석위원회는 투석전문의 25주년을 기념하여 2024년 6월 12일 ‘대한신장학회 투석전문의 Factsheet 2024’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번에 발간된 Factsheet는 1999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신장학회 심의를 통해 결정된 투석전문의에 관한 전체 자료를 분석하여, 현재 우리나라 투석전문의의 현황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자료입니다.

투석전문의란 내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중 신장 분야 분과전문의 또는 내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취득 후 혈액투석 분야를 1년 이상 수련한 의사 혹은 분과전문의 제도 시행 전 내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취득하고 혈액투석 치료 경험이 3년 이상인 의사를 말합니다.

투석전문의 제도는 1998년 7월 대한신장학회 제62차 상임이사회에서 무자격 의사의 투석치료 행위를 방지하고 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정되었습니다. 1999년 1월 보건복지부 주관 회의를 통해 혈액투석 시행기관 인정기준을 마련하고, 1999년 7월 대한신장학회 산하의 신장투석전문의 자격심사 위원회를 구성하였습니다. 같은 해 12월에는 처음으로 자격심사를 통해 신장투석전문의 213명을 선정하여 자격 인정증을 발급하였습니다.

 이후 매년 대한신장학회에서 심사를 통해 신장투석전문의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대한신장학회 정기 총회에서 신장투석전문의의 명칭을 투석전문의로 변경하고 새로운 로고를 제정하였습니다. 또한, 투석전문의 배지 착용과 SNS를 통한 홍보 이벤트를 통해 투석전문의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대국민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2022년 5월 세계 콩팥의 날을 기념하여 투석전문의를 TV와 라디오를 통해 홍보하는 광고도 진행하였습니다(그림 1).

(그림 1) 투석전문의의 역사

2023년 12월 기준 총 투석전문의는 1,217명으로 지난 10년간 누적 투석전문의는 885명, 신규 투석전문의는 84명 증가하였습니다. 투석전문의는 40대가 41%로 가장 많았고, 80대가 0.2%로 가장 적었습니다(그림 2).


(그림 2) 투석전문의 남녀 비율 및 연령별 통계


의료 기관별 투석전문의 분포를 보면 의원급이 35.9%로 가장 많고, 요양병원이 6.5%로 가장 적었습니다(그림 3).


지역별 투석전문의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이 327명으로 가장 많은 투석전문의가 근무하고 있으며, 세종이 5명으로 가장 적은 투석전문의가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투석전문의 1인당 평균 40,430명의 지역주민을 담당하고 있으며, 투석전문의 1인당 담당 인구수는 서울이 28,781명으로 가장 적었고, 세종이 77,238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그림 4).

(그림 4-1) 투석전문의 지역별 통계 1 (그림 4-2) 투석전문의 지역별 통계 2

대한신장학회 산하 투석위원회는 매년 4회에 걸쳐 투석전문의 신규 신청을 받고 있으며, 투석전문의 자격 취득 후 5년이 경과하면 윤리위원회와 투석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투석전문의 갱신 심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투석전문의 특별 규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장분과전문의 제도 시행 이전(2004년 7월)에 이미 혈액투석 업무를 시작했으나 투석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지 못한 내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대상입니다. 1차 심사는 2016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시행하였고, 2차 심사는 2022년 6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실시할 예정입니다. 투석전문의 심사 인원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8년 감소했으나, 이후에도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에는 매년 280명 이상 심사하고 있습니다(그림 5).


(그림 5) 투석전문의 심사 인원 현황


투석전문의는 1999년 시작 이후 2013년까지 매년 50명 이내였으나, 2014년부터 60명 이상, 2022년부터는 100명 이상의 투석전문의가 새롭게 배출되고 있습니다(그림 6).


(그림 6-1) 투석전문의 연도별 증가 현황 1 (그림 6-2) 투석전문의 연도별 증가 현황 2

‘대한신장학회 투석전문의 Factsheet 2024’는 대한신장학회에서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투석전문의의 현황을 확인하고, 앞으로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한신장학회 투석전문의 Factsheet 2024’가 발간되기까지 많은 노력을 기울여 주신 투석위원회 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부창수 투석이사님, 신호식 투석이사님, 김명규 투석이사님, 구상건위원님, 김기원위원님, 김도형위원님, 박태진위원님, 백진혁위원님, 송수현위원님, 위정국위원님, 이한규위원님, 전준석위원님, 황원민위원님을 대표하여 위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특히, 투석전문의 Factsheet를 구성하고 정리해 주신 황원민위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대한신장학회 소식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