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중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 이사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는 인산기념 말기신부전 등록사업을 개편하여 자료 구축부터 연구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지원까지 다양한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10가지 Q&A를 통해 하나씩 알아봅시다.
Q1. KORDS란 무엇인가요?
A1. KORDS는 인산기념 말기신부전 등록사업(Korean Renal Data System)을 의미합니다. 대한신장학회는 1958년부터 투석환자의 치료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해 왔습니다. KORDS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지침 최적화를 통해 환자와 의료진 간의 신뢰를 구축하고, 의료기관 간에 협력을 증대시키며, 국가 의료 정책 수립을 지원해 왔습니다. KORDS는 ‘지식’, ‘최적화’, ‘신뢰’, ‘협력’, ‘정책 지원’의 키워드를 따서 ‘Knowledge’, ‘Optimization’, ‘Reliability’, ‘Developmemt of collaboration’, ‘Support for Policy’의 약어이기도 합니다.
Q2. KORDS 등록사업 등록 기간이 어떻게 되나요?
A2. 2024년 12월 1일부터 2025년 2월 28일까지입니다. 인산기념 등록사업 기간은 해마다 조금씩 유동적이었는데, 올해부터 매년 12월 1일 – 익년 2월 28일로 고정하여 자료의 일관성을 명확히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자료의 입력과 수정은 연중 어느 때도 가능합니다. 등록 기간 기준으로 기존 환자의 변동된 정보와 추가 및 제외된 환자의 정보를 업데이트 해주십시오.
Q3. 등록사업에 참여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A3. 등록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에는 대한신장학회 홈페이지 인공신장실 찾기 등재와 해외학회 참가 지원 혜택을 드립니다.
Q4. 수련병원 지정 기준에 등록사업 관련 내용이 추가되었다는 것은 무엇인가요?
A4. 그동안 투석전문의 수련병원 지정 기준이 미비하였는데, 이에 대한 규정이 정비되었습니다. 투석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정에 관한 규정 9조에 수련병원의 지정 기준이 마련되었습니다. 수련병원 지정에 관한 기준은 내과 신장 분과 전문의 수련 병원 기준을 따르며 대한신장학회 인증 평가 사업과 등록사업에 대한 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점이 추가되었습니다.
특히 등록사업 관련 조항인 9조 2항에 따르면, 투석전문의 수련 병원은 직전 연도까지 3년 연속 대한신장학회 등록사업에 참여하여야 합니다. 만약 개원한 지 3년이 되지 않았거나 이전에 등록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등록 참여에 대한 서약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등록 위원회의 심사를 받아 인정 가부를 결정한 뒤 투석위원회에 통보하여 수련병원 자격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이 등록에 미참여하거나 3년 이상 등록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 등록위원회/투석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련병원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는 규정이 명문화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내용을 잘 숙지하시기를 바랍니다.
Q5. KORDS 등록사업에 새롭게 추가되는 항목이 있나요?
A5. 그동안 수집된 항목들에 추가가 거의 없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투석 관련 역학이 변화하는 등에 발맞추어 새롭게 항목을 추가하였습니다.
급성신손상과 만성콩팥병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동반 질환에 급성신손상의 병력을 추가하였습니다. 소아의 콩팥병 역학에 유전적 요인의 진단을 반영하고 소아신장학회 등록사업과 수집 항목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항목을 정비하였습니다. 투석에서 새로운 기술의 도입에 대한 자료수집을 반영하기 위해 MCO, Remote Patient Monitoring과 같은 항목을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혈액투석 환자의 주요 지표 중 하나로 투석액 관련 정보를 보완하기 위해 투석액Na 및 혈액Na값을 추가하였습니다.
Q6. 등록사업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IRB 관련 승인은 어떻게 해결하나요?
A6. 대한신장학회 KORDS 등록사업은 공공의 목적으로 수집된 자료입니다. 그러나 대한신장학회 공식 저널인 KRCP에 등록사업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투고될 경우, 공공의 목적이면서 등록사업의 자료가 주된 연구 자료로 활용된 경우 IRB 승인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해당 논문에 따라 별도의 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7. KORDS 등록사업의 자료는 언제 청구하여 받아볼 수 있을까요?
A7. 등록사업 자료를 상시 청구하던 관례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자료 제공을 위해 해마다 청구 자료의 활용 시기를 정례화 하기로 하였습니다. KORDS 등록사업 등록 기간이 완료되는 매년 2월부터 4월까지 3개월 동안 신청을 받고, 접수된 신청 내용에 따라 관련 자료를 분석할 수 있도록 익명화된 자료를 제공해 드릴 예정입니다. 관련 연구를 희망하는 연구자는 미리 내용을 준비하거나 등록위원회에 관련 사항을 미리 문의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Q8. 등록사업 자료를 활용한 연구 성과는 어떻게 활용되나요?
A8. 먼저, 연구의 논문 성과는 연구를 제안한 책임 연구자의 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연구 성과를 논문으로 게재할 경우, 연구의 사사에 KORDS 등록사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는 점을 명시해야 합니다. 또한, 공공의 목적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주요 성과는 대한신장학회 회원들에게 홍보할 수 있도록 요약 정보를 등록위원회에 제공해야 합니다. 해당 정보는 Fact sheet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제안된 연구 성과는 등록위원회에 제출되어, 회원들과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편집되어 홍보될 수 있습니다.
Q9. KORDS 등록사업이 다른 국가와 연계는 어떻게 되어 있나요?
A9. 해마다 수집된 자료들이 정리되어 USRDS에 제출되고 있습니다. 주요 결과들이 다른 국가들의 자료와 비교되어 우리나라의 역학을 다시 반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특징적인 현상과 보완해야 할 점들을 파악합니다. 이는 새로운 정책 마련의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Q10. 이번 등록위원회가 특히 이루고 싶은 성과가 있는지요?
A10. 등록위원회의 주된 미션은 등록사업의 활성화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등록자료를 수집한 뒤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등록위원회는 연구를 통해 알게 되는 성과가 새로운 정책 마련의 기초가 되어 그 혜택이 다시 환자에게 돌아가는 선순환의 구조를 마련하고 싶습니다. 새로이 변화하는 등록위원회 활동의 첫 시작점은 여러 선생님의 등록사업의 참여에서 시작합니다. 선생님의 참여가 투석환자의 내일을 밝히기를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대한신장학회 소식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